목표 [오직 배당주 적립식 매수를 통한 복리효과 증진] [성장주를 가지고 가기엔 리스크가 있으며, 또한 그렇게 운용할 자신도 없음] [오로지 배당주 매수를 통하여 배당을 통한 재매수, 복리효과를 최대한 누리고자 함] [50세까지 매달 100만원 이상 배당 목표]
엘린턴 파이낸셜
* 종목 : EFC(Ellington Financial Inc.) - 엘링턴 파이낸셜 * 업종 : 리츠(법적으로 과세 소득의 90% 이상을 배당으로 지급하도록 되어있음) * 구분 : 배당주 - 시가 배당률 : 22년 1분기 기준 : 10.11% - 주당 배당금 : 21년 기준 : 1.64$ - 배당 수익률 : 21년 배당기준 : 9.60% - 배당 성향 : 리츠업종임에 따라 과세 소득의 90%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 - 시가총액(22.3.4 기준) : 1조 2천억원(1.024B$)
[기업소개] Ellington Financial은 주거 및 상업용 모기지론, 주거 및 상업용 모기지담보부 증권 , 소비자 대출 및 소비자 대출로 뒷받침되는 자산담보부 증권, 담보 대출 의무, 비 모기지 및 모기지 관련 파생 상품을 포함한 다양한 금융 자산에 투자합니다. 대출 발생 회사에 대한 지분 투자 및 기타 전략적 투자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.
* 모기지란?(Mortgage) 우리나라 주택담보대출이랑 비슷하며 그 종류는 다양합니다. 담보물을 통한 대출을 모기지론이라고도 합니다, 즉 금융기관이 주택이나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실행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. 엘링턴 파이낸셜의 경우는 주택 부동산을 넘어 상업용 모기지론까지 운용중에 있으며, 담보를 통해 대출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수익을 창출하는 회사라고 보시면 됩니다.
[22.3.4 기준주가] - 17.81$ 52주(1년) 동안 최고 최저 주가(21.3.3 ~ 22.3.2) 최저가격 : 15.89$ 최고주가 : 19.44$ 52주 주가 평균 : 17.665$ 최근 1년 평균 주가대비 현재주가는 약 0.82% 높음
[실적 및 배당] 1. 설립이후 매년 총이익 현황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후 미국 연준은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고 시장에 엄청난 돈을 공급했다. 이후 2013년 봄부터 테이퍼링을 할 수 있다는 언급과 동시에 12월 테이퍼링을 시작하였고, 2015년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하기 시작. 긴축공포, 해당 월에는 긴축 발작, "테이퍼 텐트럼" 이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그 충격은 컸으며, 그 영향은 고스란히 해당 사업 수익에 영향을 미쳤음 하지만, 2020년 팬데믹과 동시에 양적완화가 이뤄지면 2021년의 실적은 설립 이후 최대 이익을 달성하였음 (실적에 따라 배당금액도 차등 지급) * EFC의 경우 2019년 3월 부터 배당을 지급하기 시작하였으며, 중간 실적 악화로 배당삭감을 하였으나, 2021년 실적을 통해 현재 주당 0.15$의 월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음  [매출총이익 및 배당지급 현황]
2. 배당금 지급현황 [배당금 지급현황]
[기업 전망 - 2021년 4분기 실적에 대한 코멘트 주요내용] - 4분기 당기순이익 3,430만 달러 - 부채대비 자본비율 2.7:1 및 부채대지분비율 2.0:1 - 현금 및 현금등가물 7,270만 달러, 기타 8억 8,810만 달러 - (자본증가)보통주 575만주와 B시리즈 우선주 480만 주를 발행하여 총 자본금 2억 1,940만 달러 또는 20% 증가 - COVID 전염병이 시작되기 전 보다 22% 성장 - 4분기 동안 단기 금리가 급격히 상승했고, 실질적이고 내재된 변동성이 증가 - 연준이 금리 인상이 임박할 수 있음을 알리면서 수익률 곡선이 평평해짐 * 중요사항 : 2022년 2월 23일 4:56분(동부 표준시) 엘링턴 파이낸셜, 롱브리지 파이낸셜을 인수 [롱브리지 파이낸셜은 고도로 평가된 전국 역모기지 대출 업체이자 서비스 업체로서, 노인들이 힘들게 번 주택 자본을 책임감 있게 활용하여 은퇴를 개선하고 많은 노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. 주택소유자에게 이 강력한 금융 상품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교육하여 역모기지 시장을 확장하기 위해 매일 노력하고 있음]